최근 주력 신용카드를 찾기 위해 이것 저것 카드를 발급 받아 써보고 있다. 물론 본인의 소비 패턴에 맞게 신용카드를 발급 받아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매월 쓰는 돈은 얼마 되지 않으며 혜택을 받기 위해 매월 조건을 달성하는 것도 쉽지 않다. 오늘 포스팅은 6개월 정도 신용카드를 써 본 후기이다. (현대카드 제로, 롯데카드 라이크 잇 올 카드(LIKIT ALL))
최근 주력으로 삼은 카드이다.
내가 7~8년 전 부터 발급 받아 쓰던 카드는 예스24 우리 카드이다. 이 카드는 초년도에 연회비를 내고 일정 금액을 쓰면 이후 연회비가 없다. 예스24에서 책을 많이 구매하기에 발급 받아 사용했는데 카드 유효 기간 동안 혜택 받은 금액은 3만원 정도다. 대략 60개월 중에 3달만 혜택을 받았다. 그리 합리적으로 이용하지 못했다.
요즘 잘 나가는 위비 온 우리카드로 바꾸려고 했는데 기존에 사용하는 우리카드 사용자에게는 연회비 면제 혜택을 주지 않았다. 1달 정도 우리 카드를 소지한 고객에게도 프로모션이 있었는데 그 당시 신청하지 못했다. 위비 온 우리카드를 선택하려던 이유는 모든지 다 할인이 되었고 할인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물론 혜택을 받으려면 전월 실적이 있어야 했다. (기준도 높았다.)
결국 연회비 지원을 받지 못해 위비 온 카드는 포기했다. 사람들이 많이 쓰는 카드인 현대카드 제로를 발급 받아 3개월 정도 사용해 보았다. 카드사의 정보에 따르면 연체나 할부, 카드론 등을 제외하고 카드사가 손해를 많이 보는 카드가 현대카드 제로이다. 결국 밀리지 않고 사용한다면 좋은 카드라는 이야기다.
해외 여행시 숙박업소에 맡길 보증금용 카드로 사용할 생각도 있어서 비자로 발급을 받고 사용했다. 현대카드 제로의 가장 큰 장점은 무이자 3개월 혜택인 것 같다. 기본 0.7 할인 생활 밀착 업종 1.2%로 혜택도 좋지만 생각 보다 그리 좋지는 않은 것 같다. 3개월 평균 이용금액을 보니 기본 0.7% 할인 사용액이 많았다. (달성실적 조건이 없는 것도 장점이다. 이건 롯데카드 라이킷 올도 마찬가지다.)
현대카드 제로의 또 다른 장점은 앱 카드이다. 앱을 하나 설치하면 명세서와 쿠폰 앱카드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롯데카드는 어플을 2개나 설치 해야 하는데 그런 면에서 현대카드 제로는 매우 편리했다.
반면 현대카드의 고메위크에(맛집 할인행사, 대부분 비싼 레스토랑이다.) 현대카드 제로는 포함되지 않았다. 전월 실적이 20만원인가 30만원 정도 있으면 항공권 할인 숙소 예약 등을 할 수 있는 프리비아 서비스는 제공해 준다.
리킷이라고 읽을 수도 있는데 일본어로 힘이라는 뜻이다. 역시,, 롯데는
결국 새로운 카드를 물색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원더풀 카드라 해서 프로모션 하는 카드가 다르지만 얼마전까지 주력 카드로 광고하던 롯데 LIKIT ALL 카드를 발급받았다. 1%할인이면 현대카드 제로보다 이익을 볼 것 같았다. 실제로 몇 천원 정도 더 이익을 보고 있다. 사실 신용카드 발급을 많이 받으면 신용도에 좋지 않다. (현대카드 제로를 발급받기 전 신한 카드 이상한 것을 발급 받고 해지해 버린 것 까지 포함하면 나의 신용 점수가 많이 깎였을 것이다.)
무조건 1% 할인에 50만원 이상 사용 시 주유 5만원 이상 넣으면 5천원 할인 혜택까지 꽤 매력적인 카드였다. (나는 가끔 주유도 하니...)물론 기본 무이자 할부가 안되고 L POINT 적립이 안되지만 2달 사용해본 결과 괜찮다. 연회비는 27일 정도에 환급이 된다. LIKIT 출시 기념 모바일 쿠폰 이벤트는 아직 받아보지 못했다. 1달 더 기다려 보다 안 오면 카드사에 문의해 보아야 겠다.
앞으로 롯데카드 라이킷 올을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 카드 결제일 때문에 가계부 관리가 어렵다면 K 뱅크 체크카드로 바꿀지 생각중 이다. 네이버페이 체크 카드는 기존에 1% 네이버 포인트 적립 혜택이었다. 따라서 라이킷 올의 1% 할인 혜택보다 좋은 점이 없어서 사용을 안 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광고를 보니 K뱅크 네이버체크카드를 사용하면 1.2%할인 혜택을 준다고 한다. (물론 달성 실적이 있다.)몇 달 사용해 보고 바꾸던지 해야겠다.
현대카드 제로는 비상용으로 가지고 있을 생각이다. (무이자 할부 사용할 때) 연회비 만원인데 내년에는 국내전용으로 바꾸던지 삼성카드 4 국내용으로 바꾸던지 해야겠다. 대략 60~70만원 사용하는 직장인에게 롯데 카드 라이킷 올 카드를 추천한다.
'일상,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자헛 더블 퐁듀 쉬림프 후기 (0) | 2018.06.25 |
---|---|
미장센 쉽고 빠른 거품염색 후기 (0) | 2018.06.06 |
3002번 버스 송도<->광명역 (0) | 2018.05.27 |
강남 우래옥 후기 (0) | 2018.05.25 |
부산 코모도 호텔 후기 (0) | 2018.05.24 |